본문 바로가기
건강꿀정보

성인 홍역 예방 접종, 꼭 맞아야 할까? 시기 비용 방법

by day4588 2025. 3. 23.
반응형

과거에 유행했던 질병 홍역이 요즘 다시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올해 해외여행이력이 있는 다수의 홍역환자가 발생해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데요.

홍역도 복고풍의 유행과 더불어  다시 돌아오는걸까요? ㅠㅠ

 아무튼, 홍역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 질환으로, 발열, 기침, 발진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특히 면역이 약한 사람에게는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어린 시절 예방접종을 통해 많이 줄어들었지만, 최근 해외 유행 지역에서 유입되는 사례가 늘면서

성인도 주의가 필요해졌습니다.

그렇다면 성인 홍역 예방접종, 꼭 맞아야 할까요? 대상, 시기, 비용, 방법까지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성인홍역예방접종 꼭 맞아야할까?

1. 홍역 예방접종, 왜 필요할까?

홍역은 MMR 백신(홍역·볼거리·풍진 혼합 백신)으로 예방 가능한 질병입니다.

  • 효과: 1회 접종으로 93%, 2회 접종으로 97% 이상 감염을 막을 수 있어요.
  • 위험: 예방접종을 안 맞은 상태에서 홍역 환자와 접촉하면 90% 이상 감염될 정도로 전파력이 강합니다.
  • 특히 해외여행(동남아, 중국 등 유행 지역)이나 의료 종사자처럼 감염 위험이 높은 경우 접종이 중요해요.

성인 중에서도 어린 시절 접종을 놓쳤거나 면역이 약해진 경우가 많아, 최근 질병관리청에서도 필요시

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2. 내가 접종 대상인지 어떻게 알까?

모두가 접종을 다시 맞을 필요는 없어요. 아래에 해당하면 접종을 고려해 보세요!

  • 1967년 이후 출생자 중 홍역 면역 증거가 없는 경우
    • 면역 증거란?
      1. 홍역에 걸린 적이 있는 확진 기록
      2. 혈액검사로 항체가 확인된 경우
      3. MMR 백신 2회 접종 기록
    • 이 중 하나라도 없으면 최소 1회 이상 접종 권장!
  • 특별 상황
    • 해외여행 예정자(특히 홍역 유행 국가 방문 시)
    • 의료 종사자, 학생, 군인 등 집단 생활자
    • 임신 계획이 있는 여성(임신 전 접종 필수, 임신 중엔 접종 금지)

참고: 1967년 이전 출생자는 자연 감염으로 면역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접종 대상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확실히 모르겠다면 병원에서 항체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아요!

3. 언제 맞아야 할까? (시기)

  • 일반적인 경우: 특별한 시기 제한 없이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언제든 접종 가능.
  • 여행 예정자: 출국 최소 4주 전에 2회 접종을 완료하는 게 이상적이에요.
  • 급한 경우: 홍역 환자와 접촉 후 72시간 안에 접종하면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요.

어린이 기본 접종 시기는 1차 생후 12~15개월, 2차 만 4세 ~ 6세지만, 성인은 필요시 바로 맞으면 됩니다.

4. 비용은 얼마나 들까?

  • 무료 접종: 일부 조건에 해당하면 보건소에서 무료로 받을 수 있어요.
    • 예: 기초생활수급자, 국가유공자, 장애인(지역마다 다를 수 있음).
    • 가까운 보건소에 문의해 보세요!
  • 유료 접종: 병원이나 클리닉에서 맞으면 약 2만~4만 원 수준(백신 종류, 의료기관별로 차이 있음).
  • 항체 검사: 접종 전 면역 상태를 확인하고 싶다면 추가 비용(약 2만~5만 원)이 들 수 있어요.

정확한 비용은 방문 전 의료기관에 전화로 확인하는 걸 추천합니다!

5. 어떻게 맞을까? (방법)

  • 준비
    • 접종 기록이 있으면 챙겨가세요. 모르면 항체 검사를 먼저 할 수도 있어요.
    • 임신 중이거나 면역저하 상태(항암 치료 등)라면 의사와 상담 필수!
  • 방문
    • 보건소나 가까운 내과, 소아과 등 지정 의료기관에서 접종 가능.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nip.kdca.go.kr)에서 가까운 곳을 찾아보세요.
  • 접종
    • 팔뚝에 주사로 맞아요. 1회면 충분할 수도 있지만, 상황에 따라 4주 간격으로 2회 권장.
  • 사후 관리
    • 접종 후 20~30분은 이상 반응(발열, 발진 등)을 관찰하며 쉬세요.
    • 당일 과격한 운동은 피하는 게 좋아요.

6. 꼭 맞아야 할까? 

  • 꼭 필요한 경우: 면역 증거가 없거나 홍역 유행 지역에 갈 계획이라면 접종이 필수예요. 특히 합병증 위험이 높은 성인에겐 더 중요합니다.
  • 괜찮을 수도: 어린 시절 2회 접종을 완료했거나 항체가 확인된 경우 추가 접종은 필요 없어요.

모호하다면 병원에서 간단히 상담하거나 항체 검사를 받아보는 게 확실합니다. 홍역은 예방이 최선이니, “혹시 모르니까” 맞아두는 것도 나쁘지 않죠!

저도 면역증거가 확실하지 않으니 가까운 시일 항체검사를 받아봐야겠네요.

이 글을 통해 홍역 예방접종에 대한 궁금증이 풀렸길 바랍니다. 

반응형